로고

임형태

임형태

소속

국립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I요약

국립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임형태 교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및 차세대 전고체 리튬-황 배터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임 교수는 에너지 전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혁신적인 전극 및 전해질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기화학 장치의 성능 저하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시스템 구축과 첨단 재료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축적된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 솔루션 개발에 헌신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임형태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임형태
직책교수
이메일htaelim@changwon.ac.kr
재직 상태재직 중
부서 학과신소재공학부
사무실 번호0552133716
연구실에너지 연구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s://energy54324.wixsite.com/energy
홈페이지https://energy54324.wixsite.com/energy/professor
소속국립창원대학교

경력정보

회사명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재직기간2009.01.01 ~ 2011.01.01
담당업무-
회사명국립창원대학교
재직기간2011.01.01 ~
담당업무-
회사명국립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재직기간2011.01.01 ~ 재직 중
담당업무-
회사명University of Connecticut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내구성분석#NCM양극재#전기화학재료#친환경소재#에너지저장장치#고체산화물연료전지#수소에너지#산학협력#재활용#리튬황전지#초고용량커패시터#차세대배터리#성능향상

연구 분야

연구 1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수전해 전지 기술
내용본 연구실은 차세대 고효율 에너지 변환 장치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및 고체산화물 수전해 전지(SOEC)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전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전극 및 전해질 소재 개발에 주력하며, 다양한 운전 환경에서의 성능 저하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온 연료전지의 수명 연장 및 효율 향상을 위한 열화 진단 및 억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중층 전해질 구조를 활용하여 역전압 및 황 피독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뛰어난 내구성을 보이는 셀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고안정성 금속지지형 SOFC 셀/스택 기술 개발, 암모니아 연료 활용을 위한 SOFC 구동 가능성 평가, 그리고 SOEC 시스템의 내구성 향상 연구가 포함됩니다. 또한, 딥러닝 기반의 제조 품질 안정화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셀 및 핵심 부품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전해질 내부 기준전극을 이용한 전고체 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 분석 기술은 복잡한 전기화학 시스템의 내부 거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분산 발전 시스템, 수소 생산 및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지속 가능한 미래 에너지 시스템 구축과 첨단 재료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2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및 리튬이차전지 소재 개발
내용본 연구실은 전기차 및 휴대용 전자기기에 필수적인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와 고용량 리튬이차전지 소재 개발에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전고체 리튬-황 배터리 및 고안정성 리튬금속 배터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리튬-황 전지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황의 용출 및 리튬 수지상 성장과 같은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음극재 및 고체 전해질 복합체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로는 Li-Si 합금 음극재의 화학-기계적 특성 향상,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과의 계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최적화된 설계가 있습니다. 또한, 이차밀링을 통한 미세 전극활물질 제조와 복합체층 및 전극활물질층의 경사 구조를 갖는 음극 형성 기술은 리튬 이용률을 극대화하여 전지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NCM 양극소재의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재활용 공정을 통한 성능 비교 연구는 배터리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전기차 시장의 발전을 가속화하며, 더 나아가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되어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 동력원이 될 것입니다. 본 연구실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통해 미래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연구 3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기화학 재료 및 시스템
내용본 연구실은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을 위한 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소 생산 및 저장, 활용을 포함하는 수소 에너지 시스템과 더불어, 초고용량 커패시터(Supercapacitor)를 비롯한 다양한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될 혁신적인 재료 및 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환경 세라믹스 및 전기화학 재료 분야에서의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고효율 및 고내구성을 갖춘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수소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사업 참여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저가의 친환경 고분자 기반 촉매 개발을 통해 수소 생산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Cu-Zn 바이메탈릭 전극을 이용한 슈퍼캐패시터의 성능 향상 연구는 급속 충방전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기술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프로톤 전도성 세라믹 전해전지 및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전지(AEMWE)의 내구성 및 성능 분석은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인 기술 확보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의 핵심인 수소 사회로의 이행을 가속화하고, 전기차 및 신재생 에너지 연계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위한 기초 연구부터 실용화 연구까지 아우르며, 미래 에너지 기술을 선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활동 내용[학회 활동] - 한국세라믹학회 저널 논문 게재 [수상 내역] - 스마트시티 서비스 아이디어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 우수중견연구 선정

학력

학력 사항University of Utah 공학박사(재료공학)